반응형
저도 한때 경기에서 서울로 출퇴근을 하던 시절이 있었는데요,
그때 당시 교통비만 해도 한 달에 최소 15만 원 이상은 나갔던 것 같아요.
당시엔 그냥 ‘이 정도는 다 쓰는 거지 뭐’ 하고 넘겼는데, 나중에야 알게 된 사실!
청년 교통비 지원 제도나 정기권 할인 같은 걸 조금만 미리 알았더라면
매달 몇만 원은 충분히 아꼈겠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그래서 오늘은 수도권, 특히 서울과 경기도 거주자라면 꼭 알아야 할 대중교통비 지원 제도를 정리해봤습니다.
출퇴근길에 한숨 쉬셨던 분들, 오늘 이 글 끝까지 읽어보시면 분명 도움 되실 거예요.
✅ 서울시 – 청년과 직장인을 위한 대중교통비 캐시백, 정기권 혜택
1. 청년 교통비 캐시백 (서울페이+ 연동)
- 대상: 만 19세~34세 서울 거주 청년
- 조건: 서울페이+ 앱 가입, 교통카드 월 사용 실적 충족
- 혜택: 월 최대 1만 5천 원 캐시백 (10~20%)
- 지급: 서울페이+ 지역화폐 포인트로 지급
- 신청: 서울시청 홈페이지 또는 ‘서울페이+’ 앱
실제로는 지하철·버스 합쳐 월 7만 원 이상 사용하는 분들에겐 꽤 유용한 제도예요.
2. 수도권 통합 정기권
- 사용 방식: 30일 기준 지정 구간 무제한 이용
- 서울 전용 정기권: 약 65,000원
- 예시: 평일 매일 출퇴근 시 40% 이상 절약 가능
- 구매: 지하철역 창구 또는 정기권 자판기
출퇴근 구간이 정해져 있다면 매달 몇 만 원씩 절약할 수 있어요.
✅ 경기도 – 청년 교통비 지원사업 (연 최대 60만 원 현금지원)
1. 지원 대상 조건
- 만 19세~34세
- 경기도 거주자 (주민등록 기준)
- 경기도 또는 수도권 전철 이용자
- 월 평균 대중교통 이용 실적 필요
2. 지원 내용
- 분기별 최대: 15만 원
- 연 최대: 60만 원
- 지급 방식: 본인 명의 계좌 입금 (현금)
- 신청: 잡아바 경기도일자리재단
서울로 출퇴근하는 경기도 청년들에게는 필수 지원 제도!
3. 신청 팁
- 후불 교통카드 또는 실적 있는 체크카드 사용 필수
- 분기별 신청 > 1~2개월 내 입금
- 선착순은 아니지만 기한 내 신청 꼭 필요
✅ 함께 쓰면 더 좋은 ‘광역알뜰교통카드’
- 앱 설치 후 도보 거리 측정 & 대중교통 이용 시 마일리지 적립
- 월 최대: 20,000원 마일리지
- 정기권과 중복 사용 가능
- 신청: 알뜰교통카드 전용 앱 또는 홈페이지
운동도 하고, 교통비도 절약하는 일석이조 제도예요.
✅ 마무리하며
서울, 경기에서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는 청년이라면 교통비를 무작정 내는 시대는 지났습니다.
조금만 알아보고 신청만 잘하면, 1년에 최대 60~70만 원까지 절약도 가능해요.
저도 예전엔 몰라서 그냥 다 냈던 게 너무 아쉬웠거든요.
여러분들은 꼭! 지금부터라도 챙기셨으면 좋겠습니다.
- 서울 청년: 서울페이+ / 정기권 / 알뜰교통카드
- 경기 청년: 청년 교통비 지원 + 알뜰교통카드
신청은 어렵지 않지만, 기한을 놓치면 3개월은 그냥 날리는 셈이니
캘린더에 체크해두고 꼭 신청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