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산불 피해] 기부를 처음 하려는 사람들을 위하여 - 카카오 같이가치, 네이버 해피빈

by 나는워트 2025. 3. 31.

 

 

 

안녕하세요 워트입니다.

 

2025년 봄, 강원도와 경상북도 일대를 휩쓴 대형 산불은 수많은 이들의 삶의 터전을 앗아갔습니다. 언론을 통해 폐허가 된 마을과, 당장 생활할 곳조차 없는 이재민들의 이야기가 전해지며 많은 이들이 안타까움을 느끼고 있습니다. 그리고 놀랍게도, 기부를 한 번도 해본 적 없던 일반 시민들 사이에서도 ‘무언가 도움이 되고 싶다’는 마음이 움직이기 시작했고, '첫 기부'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기부는 마음만큼이나, ‘어떻게 전달하느냐’도 중요합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기부를 결심한 분들이 반드시 알고 가야 할 것들을 정리해봤습니다.

 


 

공신력 있는 대표 기부처 추천 - 카카오, 네이버

인터넷 검색만 해도 수많은 기부처가 나옵니다.
하지만 처음 기부하는 분이라면 신뢰도와 접근성이 높은 아래 두 곳을 추천드려요.

 

✔ 카카오 같이가치 (https://together.kakao.com)

  • 카카오 계정만 있으면 누구나 기부 가능
  • ‘좋아요’나 댓글만 달아도 후원금이 모이기도 함
  • 기업 매칭, 친구 공유 등을 통한 확산 효과
  • 참여형 기부로 부담 없이 도전 가능

***현재 카카오는 아래와 같은 기부모금을 지원 하고있습니다***

카카오 같이가치 설명
사진 클릭하여 카카오 산불 피해 기부 댓글 사이트로 바로 이동

 

 

✔ 네이버 해피빈 (https://happybean.naver.com)

  • 네이버 이용자라면 누구나 쉽게 참여 가능
  • ‘산불 피해 긴급 모금’처럼 목적이 명확하게 분류
  • 기부금 영수증 발급, 모금처 상세 내역 공개
  • 작은 금액부터 클릭 한 번으로 기부 가능

네이버 기부 화면

 

 


모금처 확인사항 3가지

기부는 선한 마음으로 하는 일이지만,
그 선한 마음을 악용하는 '가짜 모금', '사칭 계좌'가 늘고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기부를 결심하기 전에 꼭 확인해야 할 3가지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공식 인증된 플랫폼인지
지자체, 정부, 언론사, 대형 포털 등과 연계된 플랫폼인지 확인하세요.

모금 목적과 사용처가 명확한지
‘이재민 지원’, ‘긴급 구호비’, ‘재건 복구’ 등 구체적인 목적이 기재되어야 신뢰할 수 있습니다.

기부 내역이 투명하게 공개되었는지
기부가 끝난 뒤 ‘어디에 어떻게 쓰였는지’ 확인 가능한지 체크해 보세요.

 


다양한 기부 방법

혹시 기부금이 부담스러워 망설였다면,
다음과 같은 ‘비금전적 기부 방식’도 있습니다.

  • 물품 기부: 이불, 속옷, 생수, 상비약 등 생필품 기부 가능 (단, 지자체 지정 장소 확인 필수)
  • 재능 기부: 심리상담, 반려동물 보호, 차량 운전 등 분야별 자원봉사
  • 온라인 확산: 기부 캠페인을 공유하거나 SNS에 소개해 참여자 늘리기
  • 응원의 메시지 전하기: 해피빈·같이가치 등 일부 플랫폼에서는 댓글이 후원으로 전환되기도 합니다

기부 후 확인 사항

기부가 끝났다고 끝난 게 아닙니다.
정말 그 기부금이 피해자들에게 닿았는지 궁금하다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투명성을 확인해보세요.

  • 기부 플랫폼 내 ‘모금 완료 후 사용 보고’ 게시판 확인
  • 참여한 모금처의 SNS나 홈페이지 공지사항 체크
  • 기부자 이메일이나 문자로 오는 정산 리포트 수신 설정

 


 

지난 3월 21일이후 경남 산청에서 최초발화한 산불이 213시간 만인, 3월 30일 13시부로 산청과 하동 지역의 모든 주불이 진화되었다는 발표를 하였지만, 아직도 잔불 진화는 계속 되고있다고 합니다. 하루 빨리 잔불까지 진화가 완료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